눈물 젖은 빵을 먹어 본 사람이 아니면

 

눈물 젖은 빵을 먹어 본 사람이 아니면

(<눈물 젖은 빵을 먹어 본 사람이 아니면 그 맛을 모른다>, 김연호 지음, 밀알라이프(신앙과지성사), 2021)

 


소신껏 산다는 것은 결코 쉽지않은 일이다. 특히 산업사회 이후 교회가 제도와 틀을 갖추고 성직자의 생활을 보장해 주기 시작하면서 목회자로서 목사답게 소신껏 살아가는 분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참 반갑지 않은 역기능이다.

나의 청년 시절만 해도(1970-80년까지) 교회 게시판에는 ‘성미표’라는 것이 눈길을 끌었었다. 이름 위에 도장들이 꾹 찍혀 있었다. 연말이 되어 이름 위에 도장이 길게 찍힌 것은 쌀을 사 먹을 형편이 양호한 교우 가정이고, 시작이나 중간쯤에 도장이 끝난 것은 형편이 어려워 쌀 사 먹기가 궁색한 가정들이었다. 형편은 어찌 되었든 교인들은 구입한 쌀에서 제일 먼저 첫 공기를 수북이 떠서 교회에 바쳤고, 바쳐진 그 쌀들이 목회자들의 ‘빵’이 되었다. 고2 때부터 교회에 나가게 된 나는 여학생들과 함께 하는 활동시간의 신비만큼이나 교회의 성미표를 유심히 살피곤 했던 기억이 있다.

새삼스럽게 지금 옛 생각을 하다 보니 길었던 짧았던 꾹꾹 눌려진 인주밥의 성미표는 눈물 젖은 교우들의 빵이었다. 그래서 많은 교우들이 첫 공기를 정성껏 봉지에 담으며 “우리 식구들 모두 이걸(빵을) 떨어지지 않게 하시고, 목사님도 이 빵을 드시면서 우리를 잘 이끌게 해 주세요.”하고 빌었던 것은 아닐까?


이 책의 저자 김연호 목사님 이야기를 나누며 산과 강을 바라보며 인생과 믿음을 생각했다. 그분의 아들인 김성호 목사님을 만나러 이광섭 목사와 함께 춘천행 기차에서다. 주님의 은혜로 빵 걱정을 하지도 않고 살아가는 나에게 이광섭 목사가 기차 안에서 들려주었던 고 김연호 목사님의 ‘눈물 젖은 빵’의 이야기는 그리스도인으로 무척 소신 없이 나이 들어가는 나를 부끄럽게 만들었다.

그날의 춘천행 기차는 유난히 더 덜컹거렸다. 이광섭 목사가 전해준 김연호 목사님의 이야기가 춘천행 청춘열차를 그날따라 더 덜컹거리게 했는지도 모른다.

“형, 김 목사님이 인천 계산교회 담임할 때 6.25가 터졌고, 인천 어느 부둣가에 큰 배가 제주도로 목회자들을 태우고 가려고 기다리는데, 김 목사님은 교인 200명을 이끌고 그리로 갔데요. 난리가 났다지, 이 배는 목회자 외에는 탈 수가 없다!! 김 목사님의 분노는 하늘을 치솟았고, 아니, 목사들만 사람이냐 싸우면서 모두 다 배에 교인들을 올라타게 했데요. 할 수 없이 선장은 제주 애월까지 갔고, 김 목사님은 황무지 제주 땅을 교인들과 협동농장을 하면서 함께 살았데요. 아침 일찍 나오고 밤늦게 들어 갔는데 글쎄 어느 하루는 쥐를 잡기 위해 쥐약탄 밥을 배가 너무 고픈 나머지 김 목사님 큰아들이 집을 지키다가 글쎄 그 밥을 먹고 … ” 차라리 안 들었던 게 나았던 이야기를 광섭 목사는 먼 여행길에서 왜 내게 그 말을 전했는지, 그러나 듣고 보니 김연호 목사님의 책 이름 <눈물 젖은 빵을 먹어 본 사람이 아니면 그 맛을 모른다>라는 다소 신파조의 책 이름이 새롭게 들려왔다.

그뿐만이 아니다. 1920년생인 김 목사님은 평양 요한신학교에 다니면서 20대 초반부터 빈민굴에 가서 아이들과 침식을 같이하며 공부를 가르쳤다. 대동강가를 함께 뛰며 게으르고 무기력한 정신을 개혁하려고 매일 밤 12시에 자고 4시에 기침하여 새벽기도회를 인도했단다. 그 집단이 자연스럽게 신망애교회가 되었고 김 목사님은 거지 대장 전도사로 우뚝 섰단다.

이 책은 지금 생각하면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 이야기 같은 사연들이 가득하여 일일이 소개하기 어려울 정도다.

‘눈물 젖은 빵?’ 의미부여에 도사 격인 이덕주 교수는 추천사에서 풍요와 쾌락의 시대를 사는 요즘 젊은 세대가 그 의미를 알까? 먹방이 대세인 요즘 ‘눈물 젖은 빵’이라 하면 빵을 맛있게 먹는 새로운 레시피쯤으로 생각할 것 같단다. 이 교수는 ‘눈물 젖은 빵’은 민족말살정책이 극에 달했던 일제강점기 말에 태어나 해방의 감격도 느꼈지만, 그것도 잠시, 분단으로 인한 전쟁과 폐허, 빈곤과 독재 시대를 살면서 교회 부흥과 성장을 일궈낸 분들의 삶과 교훈이 농축된 표현이라고 했다. 어쨌거나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왜 겸허해야 하는지 그 의미를 제대로 말해 주는 책을 내 손으로 펴낼 수 있음이 감사했다. 너무, 흥미진진하고 재미있어서 서너 시간이면 한 권을 다 읽는 책을 독자들이 오랜만에 만날 수 있겠다.

 


처음 이 책 이야기를 ‘소신’으로 시작한데는 그 이유가 있다. 저자 김연호 목사님이 소신껏 사신 목회자의 대명사이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때는 빈민운동을 통한 독립운동으로, 6.25 때는 신도들과 함께 사는 협동농장으로, 춘천을 중심으로 한 성시화 운동으로, 김구 선생님과의 만남과 김대중 선생님 구명운동까지, 남들이 피해 가는 길만을 찾아가며 불의와 맞서 싸운 용기와 신념이 다 어디서 나온 것인지 참으로 궁금한 분이다. 그리고 교단의 평화를 위해 상처가 있는 교회마다 찾아 나선 화해자의 역할도 소신이 없으면 할 수 없는 일인데 감동적인 여러 일들을 해내셨다. 교회 안에서는 성령의 사람, 교회 밖에서는 화평의 사도, 그런 소신 있는 목회자를 보유한 감리교단인데 어쩌자고….

최병천 장로(신앙과지성사 대표)

0 답글

댓글을 남겨주세요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